전기자동차 용어
출처: 환경부전기차충전소 https://www.ev.or.kr/portal/main
LDC, Low Voltage DC-DC Converter 고속전기차용 직류변환장치
- 고전압 배터리에서 나오는 330V 고전압을 차량에서 사용되는 12V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12V 보조배터리 충전 및 차량 전장부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
-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조절, 접압/전류/온도 감시, 냉각 제어 등을 수행
FCEV, Fuel Cell Electric Behicle 연료전지 자동차
- 연료전지 스택에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얻은 후 생산된 전기로 모터를 움직여 주행하는 자동차
EV,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
- 고전압 배터리로 부터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차량에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화석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공해 자동차
PRA, Power Relay Assembly
- 구동스위치와 배터리를 연결해 전기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는 장치
PHEV, Plag-in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 하이브리드차 중에서 외부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받은 전기에너지로 구동이 가능한 자동차
HEV, 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자동차
- 내연기관(엔진)과 전기모터, 두 종류의 동력을 조합 구동하여 기존 내연기관차 보다 고연비, 고효율을 실현한 자동차
비접촉식 충전방식(Inductive Charging)
기존의 주차장 바닥하부에 교류를 발생시키는 급전선로를 자성재료(코어)와 함께 매설하고, 자동차 바닥 부에는 지하에서 발생한 교류에 의한 자기장을 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어 에너지를 전달받는 집전장치가 장착되며, 집전장치에서 발생된 전류는 정류를 거쳐 배터리로 충전이 되는 방식
셀 일렉트로닉스(Cell Electronics)
단위 전지나 전지 조합의 열적, 전기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능한 모니터링하여 이 데이터를 배터리 컨트롤 유닛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소켓 아웃렛(Socket Outlet)
고정 배선과 함께 장착하거나 장치에 내장시키어 전기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꽂는 기구. 보통 콘센트라고 불리우는 전기 접속기구
쇄정 장치(Retaining Devices)
플러그나 커넥터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연결 상태가 임의로 또는 의도하지 않았을 경우에 제거되지 않게 잠금을 하는 기계적 장치이며,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순수 전기 추진 작동 모드(pure electric propulsion operating mode)
보조 시스템과 차량 추진을 위해 RESS만을 사용하는 작동 모드
순수 전기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
리튬이온 등의 2차전지에 전기를 충전해 모터를 작동시켜 운행하는 전기차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스마트와 그리드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지능형 전력망을 뜻하는 차세대 에너지 신기술
아이들 스탑(Idel stop)
차량이 정지할 때 엔진을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연료소모 방지
암페어아워(Ah)
배터리의 용량을 표시하는 단위로 1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류량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
Wh/l로 표시되며, 배터리 팩이나 시스템의 체적당 저장되는 에너지량
에코모드(Eco Mode)
히터에서 PTC히터의 온도와 팬의 풍량을 제한해서 전력을 아끼는 모드
연료 전지 모듈(Fuel cell module)
전기 화학적으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연료 전지 스택을 포함하며 차량 또는 발전 시스템에 장착하는 조립품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작동 모드(fuel cell hybrid electic vehicle operating mode)
추진을 위해 RESS와 연료 전지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하는 FCHEV의 모드
연료전지 자동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스택에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얻은 후 생산된 전기로 모터를 움직여 주행하는 자동차
완성된 전기 차량 공차 질량(Complete electric vehicle kerb mass)
탑승자나 화물을 배제하고 트랙션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완속 충전(Standard Charge)
충전기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에 교류 220V를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
완속충전 서비스(Standard Charge services)
공공기관, 직장, 음식점, 마트, 주차빌딩 등에 완속충전기를 구축하여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정액제, 종량제 요금 적용
완속충전기(Standard Charger)
외부의 전력공급설비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스탠드와 이와 연결된 케이블 및 단상교류 접속의 전기자동차 커플러를 가진 일체의 충전시스템으로 전기자동차의 탑재형 충전기를 통해 축전지를 충전하는 방식의 충전기
완전 무공해차량 기준(ZEV, Zero Emission Vehicle)
전기차, 수소차 등 배출가스가 전혀 나오지 않는 무공해 자동차
용량(Capacity)
규정된 조건하에서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 암페어(Ah) 단위의 양
1종 충전기(Class 1 Charger)
기본보호 수단으로서 기초절연과 고장보호 수단으로서 노출된 모든 도전부를 충전기 접지단자에 연결하는 충전기
2종 충전기(Class 2 Charger)
기본보호 수단으로서 기초절연과 고장보호 수단으로서 부가절연을 하는 충전기. 기본보호와 고장보호는 강화절연으로 제공됨
V2G시스템(Vehicle to Grid System)
차량의 V2G 커넥티비티 모듈(VCM)을 통해 전력 그리드와 양방향으로 데이터와 전력 전송을 하는 것으로 차주가 요구하는 충전시간, 전력량 등에 따라 자동 충전을 할 수 있고, 전력회사의 피크 타임을 피해 충전하고, 필요시 거꾸로 전력회사에 전기 공급/판매 할 수도 있는 시스템
간접 접촉(indirect contact)
통전 부품의 기본 절연체에 발생한 고장으로 인하여 대전되어 있는 노출된 전도성 부품에 대한 사람 의 접촉
고동력 적용(high power application)
배터리 팩이나 시스템에 대한 실온에서 1C 방전율에서 최대 허용된 전력 출력과 전기 에너지 출력 사이에서의 비율이 통상적으로 10 이상이기 위한 장치나 적용의 특징
고속전기차용 직류변환장치(LDC, Low Voltage DC-DC Converter)
고전압 배터리에서 나오는 330V 고전압을 차량에서 사용되는 12V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12V 보조배터리 충전 및 차량 전장부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
고속전기차용 차량제어기(VCU, Vehicle Control Unit)
모터 제어기와 함께 토크 제어를 최우선으로 수행하게 되며, 그 외에도 시동 시퀀스 제어, 고장 진단 제어, 에너지 관리 최적 제어 등을 CAN으로 연결된 하위 제어기와 협조하여 수행
고에너지 적용(high energy application)
배터리 팩이나 시스템에 대한 실온에서 1C 방전율에서 최대 허용된 전력 출력과 전기 에너지 출력 사이에서의 비율이 통상적으로 10 미만이기 위한 장치나 적용의 특징
공조시스템(Duct System)
전기자동차에서 쿨러를 이용해 냉각을 제어함으로써 열관리를 하는 시스템
공청 전압(nominal voltage)
부품이나 시스템을 호칭하거나 검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전압의 적절한 근사값
차데모(CHAdeMO)
충전(Charge)과 주행(Move)을 합친말. 전기자동차의 충전시스템
차량제어기(Controls for Vehicle)
전체 차량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부품
초저공해 차량 기준(ULEV, Ultra Low Emission Vehicle)
미국 배출가스 규제기준으로 우리나라 휘발유 승용차,LPG 승용차에 적용되는 배출허용기준
초퍼(chopper)
직류 전원 전압을 일정한 주파수로 계속 단속하여 평균 전압을 낮추는 변환기
총소유비용(TCO, Total Cost of Ownership)
차량 구매 및 보유에 필요한 총비용으로, 초기구매비와 운영/유지비의 합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
최대 부하 전류(Full load current)
제조자가 명시한 최대 연속 부하 전류로 설계상의 연료 전지 모듈 작동 전류
최대 작동 전압(maximum working voltage)
제작자의 제원에 따른 공칭 작동 조건하에서 전기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 수 있는 교류 전압 또는 직 류 전압의 가장 높은 값
충전 케이블(Charging Cable)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선
충전기(Charger)
전원을 단상 2선식 220V로 공급받는 완속충전기와 3상 4선식 380V로 공급받는 급속충전기로 구분됨
충전장치(Charging System)
축전지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변환기와 전력변환기를 수납하는 외함까지를 말함